HTTP 헤더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요청 또는 응답으로 부가적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우리가 지난 시간에 HTTP 메시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클라이언트, 서버 사이에서 전송된다고 했다.
HTTP 메시지는 보통 Header + Body로 이루어지는데,
이런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헤더에는
위와 같이 Requset 와 Response로 나뉘어진다.
이제 어떤 것들이 있는지 확인해보았으니 그 항목에 대해서 또 알아보자.
Header
헤더는 크게 4가지로 분류된다.
- General Header(공통 헤더)
- Request Header(요청 헤더)
- Response Header(응답 헤더)
- Entity Header(엔티티 헤더)
General Header
공통 헤더는 요청 및 응답의 메시지 모두에서 사용되지만 컨텐츠에는 적용되지 않는 헤더이다.
흔하게 우리가 사용하는 공통 헤더는 Date
, Cache-Control
, Connection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공통 헤더 파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quest Header
요청 헤더는 HTTP 요청에서 사용되지만 메시지의 컨텐츠와 관련이 없는 HTTP 헤더이다.
보통 Fetch될 리소스나 클라이언트 자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서버로 보내진다.
자세한 내용은 요청 헤더 파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sponse Header
위치 또는 서버 자체에 대한 정보(이름, 버전)과 같이 응답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갖는 헤더이다.
자세한 내용은 응답 헤더 파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Entity Header
컨텐츠 길이나 MIME 타입과 같이 Entity Body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이다.
헤더는 프록시의 처리 방법에 따라 그룹핑될 수 있습니다.
'📨 Web > -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Header] HTTP Request Header :: 요청 헤더 (0) | 2020.10.09 |
---|---|
[HTTP-Header] HTTP General Header & Entity Header:: 공통 헤더와 엔티티 헤더 (0) | 2020.10.09 |
[HTTP-Header] HTTP 헤더란? 그리고 Header의 종류 (0) | 2020.10.09 |
[HTTP] 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CORS란? (0) | 2020.10.09 |
[HTTP] 기본적인 HTTP 통신의 구성 요소와 흐름 및 HTTP 메시지 구성요소 (0) | 2020.10.09 |
[HTTP] 2) HTTP 통신의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Request & Response (0) | 2020.01.24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