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장원익 기술블로그
더 좋은 개발자 되기/🔥 나의 개발론 🔥

[클라우드 기반 보안 실습 플랫폼 개발기] aws-cli 를 이용한 클라우드 자원 관리

by Wonit 2022. 1. 5.

 

오늘은 클라우드 기반 샌드박스 보안 실습 플랫폼-github 바로가기 개발을 하며 사용했던 aws-cli의 경험을 공유해보려 한다.

 

목차

  • 배경
  • 기술 선정
    • 기술 후보군의 비교
    • 기술 선택
  • 도입
    • cli 프로세스를 생성할 방법에 대한 고민
    • cli-command 를 위한 디자인 패턴
  • 후기

 

배경

 

우선 프로젝트에서 내가 개발해야하는 feature 는 다음과 같다.

 

  • 강사는 클래스(수업)을 생성할 수 있고, 하나의 클래스(수업)이 생성되면 클래스에서 사용될 실습 Computing Engine 을 할당받는다.
  • 학생은 클래스(수업)에 초대되면 실습 Computing Engine 을 할당받는다.
  • 제약: Computing Engine 은 Farage 기반 AWS의 ECS 를 사용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나는 동적으로 컨테이너를 생성해야 했었고, 해당 컨테이너들의 status 를 확인해야 했었다.

 

기술 선정

 

나는 위의 feature 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동적으로 aws computing 자원을 관리할 방법들이 필요했고 그 방법으로 2가지의 AWS Client의 선택지가 존재했다.

 

  1. aws sdk
  2. aws cli

aws sdk

 

aws sdk 는 Amazon Web Service Software Development Kit 로 aws 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application 개발 kit 이다.

 

aws sdk 는 Java 를 비롯하여 Go, JS, node등 다양한 언어와 런타임을 지원하는데, 대부분의 API가 Asynchronous 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코드의 실행 흐름에 있어서 적은 Thread 로도 높은 수준의 Concurrency를 보장한다.

 

aws cli

 

aws cli 는 Amazon Web Service Command Line Interface 로 셸 커맨드를 이용해서 AWS 서비스를 관리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AWS Client 이다.

 

설치가 간단하고 명령어 자체도 문서화가 잘 되어있으며 간단해서 초기 진입 장벽은 cli가 훨씬 낮아보였다.

 

또한 aws cli 를 이용해서 s3 bucket 을 관리했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cli 가 나에게는 더욱 익숙했다.

 

그래서 cli냐 sdk냐?

 

이 프로젝트는 짧은 기간동안 많은 기능들을 개발했어야 했는데 이 둘을 내 기준에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았다.

 

  • AWS SDK
    • -> Java application 개발에 특화되어있기 때문에 더 안정적인 개발이 가능하다.
    • -> Synchronous, Asynchronous 모두 지원하며 여러 성공 case 가 존재한다.
    • -> 하지만 공식 문서의 examples 를 포함한 대부분의 reference가 s3나 rds 관련 자료였기 때문에 사용하고 학습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 AWS CLI
    • -> 문서가 나름 잘 짜여져 있고 가독성이 좋다.
    • -> Spring boot 서버에서 외부 프로세스를 실행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익숙한 기술이다.
    • -> 하지만 aws client 주체가 서버가 돌고있는 host machine 이기 때문에 host 의존성이 생긴다.

 

이외에도 사실 나는 프로젝트에서 클라우드 파트가 아니였었다.

 

프로젝트 진행 도중 일정과 팀원 분배가 다시 이루어지며 내가 플랫폼 API와 더불어 클라우드 API를 개발해야 하는 상황이었기에 나에게 기술 선정에 대한 시간은 그리 많지 않았었다.

 

그리하여 결국 프로젝트 기술 스택은 AWS CLI로 선정!

 

이 때 돌아갔어야 했는데... 그냥 sdk 써 원익아..


cli 프로세스를 생성할 방법

 

결국 프로젝트의 기술 스택으로 aws cli 가 선정되었고, cli를 사용하기 위한 setting 을 마친 후 어떤 방식으로 bash 를 실행시킬 것인지 결정해야 했다.

 

사실상 bash 또한 외부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Java 에서 외부 프로세스를 불러올 방법에 대해서 고민을 해야했고 그에 대한 방법으로 ProcessBuilder 를 사용하였다.

 

아래의 코드는 프로젝트의 소스코드 일부를 가져온 것이다.

 

public class BashExecutor {
    private ProcessBuilder bash;

    public BashExecutor() {
        this.bash = new ProcessBuilder();
    }

    /**
     * bash 를 실행시킨다
     *
     * @param command 실행 시킬 명령어
     * @return 실행시킨 bash command 의 result
     */
    public String execute(String command) {
        String[] commands = command.split(" ");
        bash.command(commands);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rocess process = null;
        try {
            process = bash.start();
            InputStream inputStream = process.getInputStream();
            BufferedReader buffered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inputStream));
            String line;
            while((line = bufferedReader.readLine()) != null) {
                sb.append(line);
            }
            inputStream.close();
            bufferedReader.close();
        } catch (IO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finally {
            if(process != null) { // 할당 해제
                process.destroy();
            }
        }

        return sb.toString();
    }
}

 

해당 코드에서는 BashExecutor 클래스가 생성될 때 마다 ProcessBuilder 객체가 새롭게 할당된다.

 

하나의 객체가 할당될 때마다 Sub-Process 하나가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고 이는 결국 고려해야할 점들이 많아짐을 의미한다.

 

그 중 외부 프로세스가 전달하는 스트림 처리 문제를 확인해보자

 

Java에서 외부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에서 이야기하듯 Process 의 getInputStream() 메서드를 이용할 때 버퍼의 크기가 넘쳐 제대로 읽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트림 처리를 하도록 하는 전용 클래스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내가 구성한 코드에서는 별도로 처리하는 로직이 존재하지 않고 그냥 cli 가 필요한 만큼 프로세스를 생성해버리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으며 변경해야하는 여지가 존재한다.

 

cli-command 를 위한 디자인 패턴

 

나는 cli 커맨드를 처리하기 위해서 Command 패턴을 도입하였다.

 

Command 패턴이란 요청을 객체의 형태로 캡슐화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 aws-cli 에 보내야하는 요청을 캡슐화하여 AwsEcsUtil 에서 각각의 command 를 trigger 한다.

 

 

위의 다이어그램을 코드로 확인해보자

 

Command

public interface AwsCommand {

    /**
     * aws cli command 를 실행한다.
     *
     * @param commandString 실행할 command
     * @return command 의 result 문자열
     */
    String execute(String commandString);
}

 

각각의 aws-cli 커맨드를 실행할 공통 메서드를 따로 빼고 Command 별로 캡슐화를 해주었다.

 

ConcreteCommand

 

실행될 커맨드에 대한 인터페이스로 실행될 기능들을 execute() 메서드로 선언해주어 다른 Command 들이 이를 구현하도록 하였다.

 

public class GetIpCommand implements AwsCommand{
    private BashExecutor bashExecutor;
    private AwsCliResponseParser cliResponseParser;

    public GetIpCommand(BashExecutor bashExecutor,
                        AwsCliResponseParser cliResponseParser) {
        this.bashExecutor = bashExecutor;
        this.cliResponseParser = cliResponseParser;
    }

    @Override
    public String execute(String commandString) {
        String responseJson = bashExecutor.execute(commandString);
        String ip = cliResponseParser.findIp(responseJson);

        return ip;
    }
}

// 생략

public class GetLastStatusCommand implements AwsCommand {
    private BashExecutor bashExecutor;
    private AwsCliResponseParser cliResponseParser;

    public GetLastStatusCommand(BashExecutor bashExecutor, AwsCliResponseParser cliResponseParser) {
        this.bashExecutor = bashExecutor;
        this.cliResponseParser = cliResponseParser;
    }

    @Override
    public String execute(String commandString) {
        String taskDetail = bashExecutor.execute(commandString);
        String lastStatus = cliResponseParser.findLastStatus(taskDetail);

        return lastStatus;
    }
}

execute() 메서드가 호출된다면 위에서 보이는바와 같이 멤버로 존재하는 BashExecutor 의 execute() 로 Sub-Process 를 생성한다.

 

만약 새로운 Command 가 추가되어야 한다면 위와 같이 Command 클래스를 하나씩 더 추가한다.

 

Invoker

 

이 부분은 Invoker 에 해당하는 객체이다.

 

Command 에 명시된 순서와 parser 를 통해서 BashExecutor 의 실행 결과들을 반환하게 되는데, 각각의 Command 기능에 따라 메서드를 구현하였다.

 

public class AwsCliExecutor {
    private AwsCommand createTaskCommand;
    private AwsCommand getTaskDetailCommand;
    private AwsCommand getIpCommand;
    private AwsCommand getLastStatusCommand;

    public AwsCliExecutor(AwsCommand createTaskCommand,
                          AwsCommand getTaskDetailCommand,
                          AwsCommand getIpCommand,
                          AwsCommand getLastStatusCommand) {
        this.createTaskCommand = createTaskCommand;
        this.getTaskDetailCommand = getTaskDetailCommand;
        this.getIpCommand = getIpCommand;
        this.getLastStatusCommand = getLastStatusCommand;
    }

    /**
     * commandString 을 받아 ecs container 를 생성하는 aws cli 를 호출한다.
     *
     * @param commandString 실행시킬 aws cli command
     * @return 생성된 ecs container 의 arn
     */
    public String createTask(String commandString) {
        return createTaskCommand.execute(commandString);
    }

    /**
     * taskArn 을 받아 networkInterface 을 조회하는 aws cli 를 호출한다.
     *
     * @param commandString taskArn 을 조회하는 commandString
     * @return taskArn
     */
    public String getNetworkIfs(String commandString) {
        return getTaskDetailCommand.execute(commandString);
    }

    /**
     * commandString 을 받아 ip 를 조회하는 aws cli 를 호출한다.
     *
     * @param commandString networkInterfaceId 를 조회하는 commandString
     * @return container ip
     */
    public String getIp(String commandString) {
        return getIpCommand.execute(commandString);
    }

    /**
     * commandString 을 받아 lastStatus 를 조회하는 aws cli 를 호출한다.
     *
     * @param commandString lastStatus 를 조회하는 commandString
     * @return lastStatus
     */
    public String getLastStatus(String commandString) { return getLastStatusCommand.execute(commandString); }
}

 

 

Client

 

Command 에 대한 Client 는 AwsEcsUtil 이라는 클래스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Component
public class AwsEcsUtil {

    private AwsCliExecutor awsCliExecutor;
    private AwsCommandString awsCommandString;

    public AwsEcsUtil(AwsCommandString awsCommandString) {
        this.awsCommandString = awsCommandString;
        BashExecutor bashExecutor = new BashExecutor();
        AwsCliResponseParser cliResponseParser = new AwsCliResponseParser();

        AwsCommand createTaskCommand = new CreateTaskCommand(bashExecutor, cliResponseParser);
        AwsCommand getTaskDetailCommand = new GetNIDCommand(bashExecutor, cliResponseParser);
        AwsCommand getIpCommand = new GetIpCommand(bashExecutor, cliResponseParser);
        AwsCommand getLastStatus = new GetLastStatusCommand(bashExecutor, cliResponseParser);

        awsCliExecutor = new AwsCliExecutor(
                createTaskCommand,
                getTaskDetailCommand,
                getIpCommand,
                getLastStatus);
    }

    /**
     * aws cli 를 이용하여 ecs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
     * @return 생성된 컨테이너의 public ip
     */
    public TaskInfo createEcsContainer() {
        String taskArn = awsCliExecutor.createTask(awsCommandString.createTaskCommand());
        String networkInterfaceId = awsCliExecutor.getNetworkIfs(awsCommandString.getTaskDetailCommand(taskArn));
        String ip = awsCliExecutor.getIp(awsCommandString.getNetworkIfsDetailCommand(networkInterfaceId));

        return new TaskInfo(taskArn, ip);
    }

    /**
     * aws cli 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상태를 확인한다.
     *
     * @param taskArn 조회할 컨테이너의 ARN
     * @return 컨테이너의 상태 | RUNNING | PENDING | STOPPED | PROVISIONING
     */
    public String getTaskStatus(String taskArn) {
        return awsCliExecutor.getLastStatus(awsCommandString.getTaskDetailCommand(taskArn));
    }
}

 

처음으로 디자인 패턴을 도입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는데 실 아키텍처에 디자인 패턴을 도입한다는 것이 마냥 쉬운 것은 아니었던것 같다.

 

위와 같이 캡슐화를 통해서 일관성있는 로직을 개발할 수 있을지라도 제대로된 Command 패턴을 사용했는가? 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과연 디자인 패턴을 도입한다고 하여도 이 코드가 가독성이 좋고 잘 구성이 되었는가? 에 대한 대답도 쉽게 할 수 없을것 같다는 것이 너무 아쉬웠다.

 

결론

 

사실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는 aws sdk 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best practice 가 아닐까 한다.

 

aws-cli 를 선택하면 꽤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개발을 해야한다. 이를테면 위에서 말한 Sub-Process 문제부터 해서 Sub-Process 의 보

안적 취약점.

 

만약 Sub-Process 문제를 해결한다고 하면 아예 cli 를 날리는 모듈을 외부 프로세스로 빼고 Spring-boot 에서는 요청이 들어올 떄 마다 외부 프로세스에게 한 번의 요청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럼 위와 같은 코드들이 모두 빠지게 되어 application 이 더욱 경량화 될 것이며 웹과 관련된 로직만을 더 집중해서 구현할 수 있다.

 

또 문제가 더 있다.

 

aws-cli 를 선택한다면 cli 의 configure 를 위해서 secret key를 host machine 에 설정해줘야 하는데, 이 과정이 도커에서 동작하게 하기가 꽤나 까다롭다.

 

Dockerfile 의 env 로 secret key 를 넣는 방법을 선택하면 역시 해결가능하나 컨테이너 내부에서 aws-cli 가 돌아갈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base-image 를 잘 선택해야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안고서도 불구하고 계속 aws-cli 를 고집했던데에는 바로 시간이었다.

 

앞서도 이야기했듯 구현해야하는 시간이 매우 촉박했었고 이 선택 또한 우리에게는 매우 효율적인 선택이었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위의 문제점들을 가진다면 실제 Production 수준의 결과물은 나오지 않을 것이다.

 

추후 해당 프로젝트가 더 고도화될 수 있다면 가장 먼저 고쳐야하는 포인트를 주저없이 이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