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 모델링이 나타난 이유는 실시간 시스템의 발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외부와의 사건에 제한된 시간 내에 응답하는 부분이 상당히 많은데,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발전은 동적 모델링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동적 모델링이란?
동적 모델링이란 실시간 시스템의 특징인 우선순위에 대한 자원의 할당 및 접근과 제어를 모델로써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동적 모델링에는 다양한 기법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 상태 변화도
- 프로세스 활성표
- 상태 사건표
- 유한 상태기계
유한 상태 기계
finate state machine 은 실시간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해 그래픽 표기법을 제공하고 있는데 3가지 요소가 포함된다.
제어
자료의 변환 위해 사용된다.
기능
기능의 입력과 출력을 위해 사용한다.
자료
기능이 일어나는 순서
화살표
사건
유한 상태 기계의 예시
상태 변화도
state transition diagram은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값을 표시하는 상태와 외부에서 가해지는 사건이다.
일반적으로 상태 변화도의 상태는 사건에 의해서 변형되고 상태에 의해 사건을 제시하며, 위에서 봤던 유한상태기계를 확장하여 표시한 것이 상태변화도라고 생각하면된다.
상태 변화도의 예시
사건 추적도
사건 추적도란 일반적으로 사건이 일어나는 일종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사건을 추적한다.
사건 추적도에서는 사건의 순서와 사건을 주고받는 객체나 시스템을 표현하며, 사건의 흐름은 화살표로 표시한다.
'💻 Computer Science > --- Software 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공학] UML-클래스 다이어그램 이해하기 (0) | 2022.02.02 |
---|---|
[소프트웨어 공학] 정보 모델링과 ER 모델 (3) | 2019.12.13 |
[소프트웨어 공학] 구조적 방법론과 자료 흐름도(DFD) (0) | 2019.12.12 |
[소프트웨어 공학] 익스트림 프로그래밍이란? (0) | 2019.12.09 |
[소프트웨어 공학] 나선형 모델 패러다임 (0) | 2019.12.09 |
댓글0